2023. 10. 23. 10:20ㆍ오락실 기판






어릴 적에 좋아했지만, 전혀 기억하지 못하다가 우연히 아카트로닉스라는 오락실에서 발견하고 엄청 기뻤던 게임이다. 인기 게임이 아니라서 오락실에서는 나만 했던 게임이었다. 큰 캐릭터에 다소 우스꽝스러운 자세로 칼을 휘두르는 미국식 애니메이션이 당시에도 그렇게 멋지다는 인상은 아니었지만, 성인 취향 디자인에 알록달록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다크한 세계관은 오히려 지금 더 와닿는 느낌이다.
특히 BGM이 너무 너무 멋있는데, 제목이고 뭐고 다른 건 다 잊었지만, 이 음악만큼은 수년이 흘러도 내 뇌리, 몸속에 박혀있어서 아카트로닉스에서 게임을 구동할 때 약간의 전율을 느낄 정도였다.
라스탄의 메인 테마는 이 게임을 잊고 있을 때도 내 기억에 잔존해서, 다른 어떤 콘솔 게임을 하면서 아 이 테마 어디선가 들었는데 라며 기억이 나지 않아 괴로운 적이 있었다. 그 게임은 이타가키 토모노부의 엑스박스 게임인 걸작 "닌자 가이덴"이었다.
당시 너무 신기해서 두 사운드 트랙의 관계를 찾았지만, 아무런 연관은 없던 기억이 있다. 사실 두 개의 음악을 나란히 들어보니 닮은 구석이 별로 없는데, 왜 그렇게 느꼈을까. 그냥 개인적으로 재밌는 해프닝이어서(나만의 망상정도로) 이렇게 기록한다.
그다지 잘했던 게임은 아니었지만, 그렇게 어려운 게임도 아니어서 조금씩 진전이 있던 와중에 사라졌던 게임이었다. 몇 년 전에 한창 기판을 사 모을 때 여러 좋은 기판을 팔던 셀러에게 경매가 끝나는 날까지 아무도 입찰하지 않기에 시가보다 조금 더 싸게 오퍼를 넣어 구매했다. 게임은 언테스티드였지만, 다행히 별문제 없이 구동했다.
기판은 북미판과 일본판에 약간의, 어쩌면 큰 차이가 있는데, 북미판에서는 왜인지 스테이지를 클리어 할 때 나오는 컷신이 고정되어 계속 같은 화면만 보여주지만, 일본판에서는 매 스테이지 끝에 컷신이 바뀌며 스토리의 진행에 맞는 연출을 더 해, 훨씬 풍부한 스토리 텔링을 갖고 있다.
어쨌든 게임은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출연해서 유명해진 "코난 더 바바리안"에서 많은 영감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. 재밌는 점은 내가 가장 재밌게 봤던 홍콩 영화, 지금도 무척 좋아하는, "천녀유혼"이 1987년 같은 해에 개봉했는데, 이 영화 역시 코난 더 바바리안에서 베껴온 장면이 있다는 것이다.
이렇듯 같은 장르는 물론 다른 장르까지 문화의 흐름은 이어진다. 마치 진화처럼 동시 다발적으로 이뤄지는 이런 움직임의 결과를 지켜보는 것은 즐겁다. 그리고 지나간 문화 속 이벤트를 회상하며 나란 인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알고, 그로인해 어디로 갈지,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유하는 것 역시 흥미롭다.
'오락실 기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곤베의 아임쏘리, 코어해서 미안 (0) | 2023.11.13 |
---|---|
골든 액스, GOLDEN LIFE (0) | 2023.11.01 |
하이퍼 올림픽 84, 불의 노래를 들어라 (0) | 2023.10.16 |
라스트 듀얼, 심심한 게임 매운 인생 (0) | 2023.10.04 |
사이코 솔저, 소년 소녀를 만나다 (0) | 2023.09.24 |